시계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오토매틱 아니면 안 쳐준다는데, 정말일까? 시계 좀 안다고 하는 사람들을 보면, 종종 기계식이니, 오토매틱이니, 쿼츠니 하며 어떤 시계가 좋은지 침을 튀겨가며 싸움을 벌인다. 시계가 그냥 예쁘면 되지 도대체 이런 논쟁이 무슨 의미인가? 수동, 자동, 쿼츠 등으로 나뉘는 시계 무브먼트의 원리와 특성에 대해 아직 잘 알지 못하는 입문자라면 당연히 던질 수 있는 질문이다.
무브먼트의 세계는 사실 너무나 방대해 책 한 권으로 설명해도 모자랄 정도이다. 또한, 어떠한 종류의 무브먼트가 좋고 나쁜지의 문제로 귀결될 수도 없는 문제이다. 입문자 입장에서는 기본적인 무브먼트의 특성과 호불호 포인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는 무브먼트를 찾아가는 과정이 더 중요할 수 있겠다. 쉽고 간단하게 알아보는 각 무브먼트의 원리와 특성을 참고해 더욱 섬세한 시계 취향을 계발해보도록 하자.
기계식 시계 – 매뉴얼 vs. 오토매틱
<시계 입문자들을 위한 잡학사전 Part.1 – 뭐가 이렇게 어려워? 쉽게 풀어보는 시계 용어와 역할>에서 설명했듯, 무브먼트는 시계의 모든 기능에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이라 할 수 있다. 무브먼트는 작동 방식에 따라 크게 기계식, 전자식으로 나뉘는데, 기계식은 다시 매뉴얼(수동)과 오토매틱(자동)으로 나뉜다.
용어와 관련하여, 매뉴얼·수동·핸드와운드(hand-wound)·핸드와인딩(hand-winding)는 모두 같은 무브먼트를 지칭하고, 오토매틱·자동·셀프와인딩(self-winding) 또한 동의어이다(이 중 ‘자동’ 시계라는 말은 어째서인지 잘 쓰지 않는다).
오늘날 가장 인기가 많은 무브먼트는 오토매틱이라 할 수 있다. 착용했을 때 손목의 움직임에 의해 로터(회전추)가 돌면서 저절로 태엽을 감아주는 형태의 무브먼트이다. 이러한 작동 방식은 개인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있다. 어느 정도 활동적인 사람이 매일 찬다면 따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멈출 일이 없겠지만, 학생이나 사무직처럼 그다지 활동적인 생활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로터가 도는 양이 충분하지 않아 매일 차고 있어도 멈추는 경우가 발생한다.
매뉴얼은 가장 오래된 무브먼트 종류이다. 사용자가 직접 시계의 태엽을 감아줘야 동력이 발생한다. 매일, 혹은 며칠마다 착용하기 전에 크라운을 직접 감아줘야 하는데 사람에 따라 귀찮게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이다. 반면 이와 같은 시계와 사람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더 친밀하고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경우도 있다.
매뉴얼 무브먼트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주로 손꼽는다. 매뉴얼 시계는 오토매틱처럼 로터가 필요 없기 때문에 시계 두께를 더 얇게 만들 수 있으며, 미세한 차이지만 그만큼 무게도 덜 나가고, 로터가 도는 소리도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간혹 로터가 무거운 시계들은 손목에서 로터가 ‘휭휭’ 도는 무게감이 느껴지기도 하는데, 괄목할만한 무게감은 아니지만, 이를 불편하게 여기는 이들도 있다.
오토매틱이든 매뉴얼이든 기계식 시계는 파워리저브가 고갈되면 작동을 멈춘다. 기계식 시계의 평균적인 파워리저브는 42시간인데, 파워리저브가 고갈된다면 시계를 찰 때 시간을 다시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시·분·초의 기본적인 기능만 갖춘 시계들의 경우는 큰 불편함이 아닐 수 있지만, 날짜·요일·월·년도·문페이즈 등 다양한 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매번 각 기능을 세팅해야 하는 수고를 동반해야 한다. 다만, 오토매틱 시계의 경우는 워치 와인더에 시계를 인위적으로 회전시켜 동력이 끊기지 않게 하는 보관 장치)에 보관함으로써 이런 수고를 덜 수는 있다.
또한, 기계식 시계는 부품이 많기 때문에 보통 5년에서 10년마다 전문적인 손길을 받아 관리를 해줘야 하며, 그 비용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잘 유지만 해준다면 평생을 쓰고 대를 물려줄 수 있는 공예품이기에 그만큼 비싼 값어치를 한다.
같은 기계식 시계라 하더라도 인하우스 무브먼트, 범용 무브먼트에 따른 차이가 발생한다. 간단히 말해 시계 제조사에서 직접 무브먼트를 만드느냐, 다른 제조사가 만든 것을 사 와서 쓰느냐의 차이라 할 수 있다. 인하우스(in-house) 무브먼트는 브랜드가 자체적으로 개발해 고유의 아이덴티티가 들어간 무브먼트이기 때문에 더 가치가 있고 비쌀 수밖에 없다. 하이엔드 시계에는 거의 인하우스 무브먼트가 들어가는데, 기계식 무브먼트를 새롭게 개발하는 데에는 엄청난 연구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단가를 높여야 할 수밖에 없다.
반면, ETA, 셀리타, 세이코 등 범용 무브먼트는 평범하고 저렴하지만, 실용적이고 검증된 레디-메이드(ready-made) 무브먼트이다. 그만큼 수리에 드는 비용도 희귀한 인하우스 무브먼트에 비해 적게 든다. 고장이 나더라도 ETA 수리는 웬만한 수리점에서 다 가능하지만, 하이엔드 시계라면 수리할 수 있는 곳에 대한 선택권이 많지 않고 본사로 보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유명 시계 회사는 스위스에 있는데, 보내는 비용과 서비스 비용을 따지면 웬만한 중저가 시계 가격이 나오기도 한다. 이 때문에 고급 시계를 모으는 사람들은 몇 년에 한 번씩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고 나면 ‘현타’가 온다고들 한다.
어디까지가 인하우스냐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정 브랜드가 사후적으로 무브먼트 제조사를 인수해 시계를 제작해도 ‘인하우스’라는 표기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가끔 범용 무브먼트나 타사 무브먼트를 기반으로 시계를 제작하다가, 이를 수정과 개발을 거쳐 자사 브랜드용으로 바꾸는 경우도 적지 않다. 범용 무브먼트를 그대로 쓴다고 하더라도, 핸드 피니싱이 들어간다든지 별도의 크로노미터(정밀 인증을 거쳐 일 오차를 최소화한 무브먼트) 레귤레이션(시계 검수 과정에서 시계의 오차가 특정 범위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조정하는 작업)을 거치며 단가가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쿼츠 시계
쿼츠 시계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태엽 구동이 아닌 건전지 힘으로 가는 시계다. 전력 공급을 받은 쿼츠 발진기의 고주파 진동으로 인해 작동하며, 몇 가지 종류로 나뉜다. 외형이 기계식 시계와 똑같은 아날로그 쿼츠,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시계, 시티즌 에코드라이브처럼 태양광 충전식, 원자시계로부터 GPS 송신을 받는 라디오 컨트롤 시계 등이 그것.
통상적으로 디지털 시계라고 하면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는 쿼츠 전자시계를 의미한다. ‘디지털’이란 단어는 해석하기에 따라 바이너리(binary; 0과 1) 코드를 따르는 전자기기를 뜻하기도 하지만 0부터 9까지의 아라비아 숫자를 뜻하기도 한다. (후자의 의미로 해석한다면 기계식 시계도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점핑 아워 시계가 그 예이다.) 스마트워치는 쿼츠시계라고 하기 좀 애매한 측면이 있어서, 흔히 쿼츠와 떼어 분류한다. 전통적인 시계처럼 손목에 차는 형태이기는 하지만 타임 키핑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시계의 모양을 한 컴퓨터에 가까우니까.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도 시간을 보여주는 기능이 있지만 이를 시계라고 하지 않듯이 말이다.
쿼츠 시계의 장단점은 뚜렷하다. 장점이라면 타임 키핑 측면에서 기계식보다 정확한 것은 물론 튼튼하고, 더 가볍고, 작게 만들 수 있다. 심지어 훨씬 저렴하기까지 하다. 매일 차지 않아도 멈출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몇 년마다 한 번씩 배터리를 갈아줘야 하지만 그 비용도 그만큼 저렴하다. 실용적인 측면이라면 쿼츠 대신 기계식을 선택할 이유가 거의 없다.
쿼츠 시계의 단점이라면 초침이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아 우아한 무빙을 감상할 수 없고, 시스루 케이스 백으로 정교한 무브먼트를 감탄하며 바라볼 수 없다는 점, 대부분 고급 시계는 쿼츠로 나오지 않는 다는 것은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이처럼 실용적인 것보다 감성적인 측면에서는 쿼츠의 단점이 많이 보인다.
하지만 최고급 쿼츠 기술이 들어가고 마감이 매우 뛰어난 그랜드 세이코 같은 시계들도 있어서, 쿼츠라고 무조건 가격이 저렴하다는 편견을 버리는 게 좋다. 기계식이 무조건 쿼츠보다 좋은 것도 아니고, 기계식이라고 무조건 쿼츠보다 비싼 것도 아니다. 다만 오늘날의 기계식 시계는 기본적으로 실용성보다 장인정신을 중요시하는 정성이 깃든 물건이다 보니 그 본질적인 가치가 더 높은 것 뿐이다.
기계식과 쿼츠 외에도 둘을 조합한 형태의 무브먼트도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무브먼트를 ‘하이브리드 무브먼트’라고 하는데, 사실상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데는 기술적인 설명이 필연적이라 대표적인 몇 가지 예로 설명을 대신하겠다. 메카쿼츠 크로노그래프, 세이코의 키네틱 드라이브나 스프링 드라이브, 또 리센스(Ressence)의 e-Crown 기술 등이 하이브리드 무브먼트와 관련을 맺고 있다.